당신의 일과 삶에 영감이 되어줄 이야기, 현재 가장 트렌디한 공간의 얽힌 소식을 가져왔습니다.
공간을 둘러싼 폭 넓고 깊이감 있는 놓쳐선 안될 소식을 큐레이팅하고, 새로운 관점을 전달합니다.
본문 중의 링크를 클릭해
숨어있는 정보들도 확인하세요!
공간에 얽힌 모든 소식을 전하다, SOSIC 소식.
지금 시작합니다!🔥
|
|
|
[2025. 07월 1주차_이번 주 소식]
[타운매니지먼트/커뮤니케이션]
"도시는 누구의 것인가?" – 성수 타운매니지먼트가 묻고 BASKET이 답하다
|
|
|
[SOSIC X 프로젝트 렌트] 프로젝트 렌트부터 초청을 받아 다녀왔습니다. |
|
|
구독자님이 알아야 할 소식
💡"도시는 누구의 것인가?"
– 성수 타운매니지먼트가 묻고 BASKET이 답하다
지난 6월 19일 서울 성수동의 한 켠에서는, 프로젝트 렌트와 성동구청이 함께 만든 'BASKET 성수 : AFTER WORKING CLUB'이 선을 보였습니다.
"회사원이 새로운 성수의 로컬이다." 라는 관점으로 '퇴근 후의 나'를 위한 감각적인 커뮤니티 플랫폼 공간 - 가볍게 들릴 수 있는 정도를 따져본다면 마치 편의점처럼 가볍고 부담없는 곳이지만 동시에 그 안에는 책, 대화, 전시, 그리고 감정이 머무를 자리까지 담겨 있었습니다.
단지 물건이나 서비스를 팔기 위한 도시를 넘어, 일과 삶의 경계를 부드럽게 풀어내고 있는 도시 '성수'를 닮아있는 '<BASKET 성수 : AFTER WORKING CLUB>을 소개합니다!
|
|
|
👉 변화하는 로컬 성수, 그리고 도시를 구성하는 주체들 (feat. 타운매니지먼트)
성수라는 동네는 오랜 시간 동안 다양한 얼굴을 바꾸어 왔고, 계속해서 질문들이 생기고 있습니다.
-
과거엔 준공업지역으로 낙후된 이미지를 지녔지만, 2014년 도시재생 시범지구로 선정된 이후 붉은 벽돌 건물의 재해석, 공방 문화의 보존, 소셜벤처 유입 등을 통해 도시 정체성을 새롭게 구축해왔는데요. 이로 인해 성수동 내 사회적경제조직은 2014년 12개에서 2024년 540개 이상으로 증가했고, 외국인 방문객 수는 2020년 대비 46배 증가해 300만 명에 달했습니다. 2024년, 세계적인 매체 ‘타임아웃’이 선정한 ‘세계에서 가장 멋진 동네’ 4위에 오르기도 했습니다.
그만큼 성수는 지금, 상업화와 도시 정체성의 사이에서 중요한 분기점에 서 있습니다. 빠르게 변하는 거리 풍경, 매달 바뀌는 팝업스토어, 과밀한 인파와 쓰레기, 그리고 오르는 임대료.
-
이 변화는 화려하지만 동시에 도시의 지속가능성을 질문하게 만듭니다. 이 질문에 대한 공공과 민간의 공동 실험이 바로 타운매니지먼트이며, 그 첫 시작점이 'BASKET 성수'였다는 생각이 듭니다.
|
|
|
성수 산업혁신공간에서 성동구와 함께 프로젝트 렌트가 운영 중인 'BASKET 성수' / 사진: ⓒ성동구
|
|
|
👉 성수동 직장인들의 퇴근 이후의 시간을 담아내다 |
|
|
'BASKET 성수'의 핵심 키워드는 "AFTER WORKING CLUB(애프터 워킹 클럽)"
프로젝트 렌트는 "회사원이 새로운 성수의 로컬이다." 라는 생각을 토대로 이 공간을 기획했습니다. 성수의 일하는 사람들을 위한 라이프 그로서리 'BASKET 성수'에서는 일과 삶, 그 안에 담긴 이야기와 문장, 그리고 당신의 시선을 붙잡을 인사이트들이 이어집니다. 성수에서 일하고, 만들고, 살아가는 사람들을 위한 커뮤니티 플레이스이자, 일상을 나누는 열린 플랫폼이죠.
이번 팝업의 콘텐츠는 감정, 취향, 시간대에 따라 입체적으로 구성되었습니다. 1층에서 가장 먼저 방문객을 반기는 곳인 길과 맞닿은 공간 '바스켓 인 성수'는 성수의 로컬 브랜드들을 큐레이션한 편의점형 편집숍으로 단순한 물건 진열이 아니라 '브랜드의 철학과 취향'을 소비자에게 전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었습니다.
|
|
|
'얄리Bar'에서는 GPT 기반의 AI와 대화를 나눈 뒤 자신의 감정 상태에 맞는 음료를 추천받는 공간이 마련되었는데요. 성수에서의 일하는 직장인의 자유와 회복, 일과 삶의 균형을 고민하는 사람들의 이야기 나눔이 '식당과 바'의 메뉴의 스토리텔링 속에 녹아들어 위로를 전달하는 위트있는 방식으로 전개되는 공간입니다. 기술과 감성이 만나 ‘일상의 감정 기록’이라는 새로운 소비 문화를 창출한 사례라고도 보여집니다!
|
|
|
2층의 코워킹 라운지는 'DESKER'와 프로젝트 렌트의 'BASKET'이 함께 만든 공간입니다.
낮에는 업무 공간으로, 밤에는 퇴근 이후의 이야기가 열리는 느슨한 커뮤니티로 전환되어, 시간에 따라 공간이 기능을 바꾸는 유연한 모델이라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퇴근 후의 시간을 담은 공간과 도시는 소비를 넘어 감정 회복, 취향 발견, 관계 확장의 장이 될 수 있다고 생각이 듭니다. 'BASKET 성수'는 이 점을 실험적으로 제안하고, 참여자들에게 스스로의 도시 라이프스타일을 새롭게 정의할 기회를 열어주고 있는 것이죠. |
|
|
👉 공공의 역할은 지금 확장되는 중.
BASKET 성수가 다른 팝업스토어와 결정적으로 다른 지점은 '성수 타운매니지먼트' 사업의 일환이었다는 점입니다. 기존의 공공은 공간을 제공하거나 규제하는 주체였지만, 이제는 도시의 콘텐츠를 설계하고 운영하는 주체로 확장되고 있습니다.
성수 타운매니지먼트 출범식에는 무신사, 루트임팩트, SM엔터테인먼트, 스위트스팟, 테크캡슐, 더로드메이커, SJ그룹 등 다양한 기업이 참여했습니다. 이들은 단순한 후원이 아니라, 각자의 방식으로 도시 공간에 콘텐츠와 가치를 기여하는 실천 전략을 공유했다고 하는데요. 예컨대 무신사는 일부 공간을 소상공인 지원 매장으로 전환하며 공간의 사회적 환원 가능성을 제시했고, 테크캡슐은 성수의 공간을 3D로 스캔해 아카이빙하는 디지털 기록 프로젝트를 소개했다고 합니다.
|
|
|
정원오 성동구청장은 출범식에서 “행정은 앞장서는 주체가 아니라,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성장이 전체의 성장이 되도록 연결하는 플랫폼이 되어야 한다”고 말했다고 전하는데요.
도시 운영의 철학이 ‘관리’에서 ‘연결과 기획’으로 전환된 순간이자, 진정한 거버넌스가 작동하는 장면이라고 볼 수 있죠.
또한 중요한 점은 이 거버넌스가 일회성 행사를 넘어서려 한다는 점입니다. 성동구는 향후 공공 팝업, 친환경 상점, 지역 축제, 위메이크 성수 브랜드 운영 등 다양한 타운매니지먼트 기반 사업을 확대 운영할 계획입니다. 이는 도시가 하나의 브랜드이자, 나아가 '운영되는 살아 있는 플랫폼'이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시사하죠. |
|
|
👉 BASKET은 무엇을 팔았을까?
'LOCAL CONVENI & COMMUNITY STORE'라는 BASKET의 슬로건은 이 공간의 정체성을 명확히 보여준다는 생각이 듭니다. 이 공간은 상품만을 판매하지 않았습니다.
오히려 사람들 각자의 감정, 연결, 관계, 저녁의 시간 그 자체를 주제로 삼았습니다.
성수는 소비 중심으로 팽창해왔지만, 이번 기획은 그 소비를 정서적으로 환기시키는 방향을 선택했습니다. 맥주 한 잔이 회복의 장치가 되고, 브랜드의 큐레이션이 취향의 발견이 되며, AI와의 대화가 자기 이해의 시작이 되는 구조. 이것은 단순한 상업 공간이 아니라, "정서 기반 리테일"이라는 새로운 유형의 공간 실험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또 모든 입점 브랜드들이 단순한 입점자가 아니라, 제품보다 이야기, 진열보다 맥락, 소비보다 관계를 시사할 수 있도록 한 점도 이러한 큰 방향성과 일맥상통하죠.
|
|
|
👉 도시의 감정선에 닿는 플랫폼, 그리고 그 이후
이번에 SOSIC이 주목한 것은 단지 한 번의 팝업이 아닙니다.
도시는 소비와 속도의 공간에서 점점 감정과 관계의 공간으로 이동하고 있으며, 'BASKET 성수'는 그 전환의 구조를 실현한 사례라고 보여졌습니다.
“당신은 퇴근 후 어디로 가나요?" - 이 질문은 이제 장소의 문제가 아니라, 삶의 방식에 대한 질문으로 확장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성수라는 동네는 그 질문을 도시적 감성으로 답하는 실험지이자, 도시의 미래를 구성하는 거점이 되고 있습니다. |
|
|
좋은 공간은 사람을 쉬게 하고, 질문을 던지게 하며, 일상에 작은 반향을 남깁니다. SOSIC은 계속해서 새로운 감각을 발견하고 구독자님의 일과 삶에 영감이 되어줄 이야기들로 찾아오겠습니다. |
|
|
The End. [SOSIC X 프로젝트 렌트]
|
|
|
BASKET 성수 : AFTER WORKING CLUB
일시: 25.06.19(수)~25.06.30(일)
장소: 서울 성동구 아차산로 47 성수 산업센터 4층
-
책방연희센터 <성수> 팝업
성수동의 OOH 광고 문화 이전, 상징건에 담긴 글귀의 역사적 책방연희의 책 <성수>를 소개하는 이야기형 전시
Co-working Place
성수 직장인을 위한 느슨한 휴업 라운지, 낮에는 협업공간, 밤에는 퇴근 이후 이야기가 열리는 커뮤니티 공간
얄리Bar
GPT와 함께 대화하며 직접 나의 발견에 대한 분석으로 고민할 음료를 추천하는 성수 기반 테마형 주도 실험.
바스켓 in 성수
성수 로컬 브랜드를 큐레이션한 라이프 그로서리 편집몰. 제품과 브랜드를 함께 소개하는 공간
|
|
|
SOSIC 에디터's
-
공간을 가장 잘 아는 사람들이 모여 만듭니다.
다채로운 공간에 얽힌 모든 소식을 전합니다.
공간트렌드 뉴스레터 SOSIC
문의/제안_ sosic.official@gmail.com
|
|
|
이번 주도 SOSIC 소식과 함께 해주셨군요!
고맙습니다🙏
마음에 드셨다면 친구와 동료에게
|
|
|
좋았던 점과 아쉬웠던 점, 그리고 전하고 싶은 말들을 아래 버튼을 통해 알려주세요!
구독자님의 진심어린 피드백을 통해 더 발전하는 SOSIC이 되겠습니다. |
|
|
뉴스레터를 구독하시면,
SOSIC 홈페이지보다 먼저 여러분의 메일함으로 전달됩니다.
|
|
|
매주 만나는 SOSIC 소식,
아직 구독 전이라면? |
|
|
공간에 얽힌 모든 소식을 전하다,
SOSIC
sosic.official@gmail.com
Copyright . SOSIC / All rights reserved.
|
|
|
|